본문 바로가기
신경외과/Tumor

Tumor

by 혀ni 2021. 6. 8.
728x90

 

Tumor 환자 수술전 검사

어떤 종양인지 잘모르고 처음 진단 전:

MR brain with contrast + perfusion (경우에 따라 3D T2추가)

 

  • Pituitary adenomas and craniopharyngiomas

Sella MRI, Basal hormone level, 수술 전 내분비내과, 안과 (시야검사, OCT), 이비인후과 (후각검사 및 exam) 협진

수술 중 VEP 검사

수술 시 Lumbar drain을 넣어야 할지, abdominal fat, fascia lata prep 여부 확인받기 (주로 suprasellar extension된 pituitary adenoma나 craniopharyngioma에서 필요함)

 

  • Glioma

MR brain with contrast + perfusion

Diffusion Tensor Image (DTI) (R part는 routine으로 시행) - motor, vision, language 등 중에 어떤 것이 필요한지 미리 물어보아 그리기

수술 중 monitoring: SSEP, motor cortex 또는 corticospinal tract에 가까운 경우 MEP까지

High-grade glioma 의심되는 경우에 5-ALA (글리오란) 사용 여부 확인

Intra-axial tumor 중에서 visual pathway를 involve한 경우 vision에 대한 검사 (안과 협진 for visual field검사) 필요, confrontation test해서 charting하기

 

  • Meningioma를 포함한 extra-axial tumor

MR brain with contrast 찍을 때 가능한 3D T2 image 포함, f/u 시에는 perfusion 대게 필요치 않음.

수술 전 가능한 Angio+embolization 시행

부위에 따라 approach가 천차만별이므로 사전에 확인이 필요함.

 

  • Schwannoma

이비인후과 협진 및 청력검사 (+BAEP) 필수, MR brain with contrast + perfusion (3D T2 포함)

수술 전 DTI, facial nerve 그리기 (R 환자)

수술 중 facial nerve EMG, BAEP 검사

 

  • Metastases

MRI: METS protocol (perfusion MRI에 enhanced FLAIR가 추가되어 있음)

Chest/Abd CT/whole body PET: Primary를 먼저 알아야 하나 mass effect가 심할 경우 수술 먼저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수술 중 부위에 따라 SSEP, MEP


 

Tumor 환자 수술 후 MRI: MRI routine with contrast

TSA 한경우: Sella MRI (큰 craniopharyngioma는 Routine으로 찍을지 확인받고)

Postop MRI 촬영시기: 수술 후 72시간 이내

이유: 수술 후 72시간이 지나면 postop change에 의해 종양제거한 부위 근처가 enhancement가 되기 시작하여 구분이 잘 안됨.

또한 보험 기준에서도 72시간 이내에 찍었을 때만 급여 인정됨.

수술 후 pneumocephalus가 심하거나 환자 extubation은 했지만 confusion이 심해 sedation 해야할 정도라면 무리해서 찍지 않는다. TSA한 고령환자의 경우 특히 주의

728x90

'신경외과 > Tum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tuitary tumors & Hemangioblastoma  (0) 2021.06.08
Meningiomas  (0) 2021.06.08
Schwannomas  (0) 2021.06.08
Gliomas  (0) 2021.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