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m8aQF/btr9n6rDWl0/PIEyhKGcrKLZYaHVHnZBSk/img.png)
후종인대(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는 무엇인가요?
척추의 뒤쪽에 위치하며, 척추의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는 인대로서 척추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척추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척추의 뒤쪽을 따라 길게 이어져 있어 척추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고 척추를 보호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무엇인가요?
후종인대 골화증은 후종인대가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며 두꺼워지는 변화를 일으켜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신경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후종인대 골화증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후종인대 골화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주로 한국, 일본 등의 동양인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유전적, 인종적 요소가 많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외상, 당뇨, 비만, 면역 질환, 강직성 척추염 등과도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발생 부위는 주로 경추에서 발생하지만 흉추나 요추에서도 드물게 발생합니다.
후종인대 골화증의 증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 초기에 목 부위 통증과 위화감, 압박감의 증세만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세가 진행되면 후종인대가 딱딱해지고 점차 커지면서 신경을 압박하여 상지 저림, 통증, 감각 저하, 근력 저하가 시작됩니다. 점차 하지 근력 저하 및 감각 이상, 보행 장애, 배뇨나 배변 장애가 나타납니다. 외상으로 인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사지 마비될 수도 있습니다.
후종인대 골화증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https://blog.kakaocdn.net/dn/1J98R/btr9Ak9H9Dr/98lTyTbVw0efWaStRABMSk/img.png)
① X ray
후종인대 골화증은 골 변성을 동반하기 때문에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발견할 수 있을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밀 진단을 위해서는 CT, MRI 검사가 필요합니다.
② CT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골화된 종괴의 모양과 크기, 척추관 협착과 압박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③ MRI
척수의 신경 변성 여부와 척수의 압박 정도를 잘 나타내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골화 부위는 무신호로 나타나므로 다른 병변과의 감별이 어려울 수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④ 기타
신경 손상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근전도, 유발 전위 검사, 방광 기능 검사 등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후종인대 골화증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① 보존적 치료(비수술적 방법)
안정을 취하고 운동을 제한합니다.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투여하는 신경 차단술/신경성형술을 시행합니다. 이외에 보조기 착용, 열 치료, 마사지, 견인 치료 등의 물리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하지만 후종인대 골화증 증상이 나타나고 처음 진단을 받는 경우에는 대부분 어느 정도 척수 신경이 현저하게 압박되고 척수병증의 증상이 있으므로 이러한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② 수술적 치료
척추관이 심하게 침범되었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방사통이 있는 경우, 보행 장애, 손의 섬세한 운동 장애 등과 같은 척수 병증이 보일 때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은 척수증의 정도, 침범된 척추 분절의 범위,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전방 혹은 후방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경추의 경우 전방 접근법으로 척추체 제거술을 시행한 후 골화 부위를 직접 모두 적출하는 방법이 병변의 제거라는 측면에서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3개 척추체 이상의 범위에서 발생했거나 후종인대 골화증이 심하여 수술 중 척수를 손상할 위험이 예상될 때에는 후궁 절제술이나 척추 후궁 성형술을 이용하여 간접적인 후방 감압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후궁 절제술은 수술 후 불안정성과 경추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후궁 확장 성형술이 더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후종인대 골화증 예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후종인대 골화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습관적인 목 돌리기 및 좌우 꺾기와 같은 과도한 목 운동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 엎드려서 책보기, 누워서 텔레비전 보기 등 목의 굴곡이 심해지는 자세를 피해야 합니다. 특히 목 돌리기는 목의 뼈와 디스크를 마모시켜 후종인대 골화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후종인대 골화증(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이상 증상이 있을 시에 가까운 척추 관련 의료기관을 방문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신경외과 > Sp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인치료란 무엇인가요? (185) | 2023.04.16 |
---|---|
체외충격파 치료가 무엇인가요? (132) | 2023.04.15 |
황색 인대 골화증이 무엇인가요? (132) | 2023.04.11 |
일자목? 거북목? 이 것은 무엇인가요? (21) | 2023.03.29 |
척추에 나사를 넣는 척추 유합술은 무엇인가요? (20) | 2023.03.26 |